윈도우10 업데이트 끄기 방법
우리가 이렇게 컴퓨터로 작업을 하려고 하면 아무래도 운영체제를 윈도우10으로 설치를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윈도우나 아니면 mac등을 이용을 하고 있는데요
일반 회사든 아니면 노트북으로 가정용으로 작업을 하든 이렇게 마우스로 내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윈도우10이 제일 편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그외에 오피스 프로그램도 설치를 하는데요 아무래도 한글과 ms-office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윈도우를 사용하다가 갑자기 자꾸 업데이트를 하라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처음에는 그냥 뭐 업데이트 하면 되겠지 하고 업데이트 하기를 누릅니다. 그러면 퍼센트가 올라가고 어쩔때는 바로 1-2분만에 업데이트가 종료되고 끝나기도 합니다.
그런데 어쩔때는 정말 1-20분까지 업데이트 퍼센트가 지속해서 올라가고 있으니까요 안그래도 해야할 작업이 많은데 계속해서 퍼센트를 지켜보려고 하니까 정말 답답할때가 많이 있어요
이때 조심할게 아무리 급하다고 해서 중간에 전원키를 끄고 재부팅을 하는 순간 오히려 컴퓨터 시스템의 악화를 초래하고 다음에 부팅이 힘들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절대 강제적으로 끄는 것을 줄여야 겠죠
이렇게 윈도우 업데이트가 된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얼마나 긍정적인 작업인지는 아직도 헷갈리기도 합니다. 오히려 시간만 낭비한 결과를 초래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실질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프로그램인데도 매번 이렇게 전원을 끄고 켤때마다 업데이트 메세지가 나오면서 시간낭비를 해야 한다고 하니까 답답하드라고요
그래서 이럴때는 간단하게 윈도우 업데이트를 아예 종료를 하거나 연기하는 방법을 알아볼께요 그러면 우리가 수시로 업데이트를 안해도 그렇게 치명적인 결함이나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자신의 컴퓨터 제어판에 보면 windows 설정이 있습니다. 여기서 내 컴퓨터의 다양한 시스템 항목에 대한 변경이 가능한데요 업데이트 및 보안에서 여러가지 복구 백업등에 대한 설정 변경이 가능합니다.
다시시작하면 여러가지 기능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데요 다시 시작 보류중이거나 위와같은 업데이트가 꼭 필요한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고급옵션을 가면 저는 최대한 업데이트는 일시 중지를 통해서 금으로 해놓고 그리고 업데이트 설치 시기도 선택이 가능한데요 반기로 해서 최대한 연장하고 미뤄놓은것을 선택을 했습니다.
그리고 위와같이 자신의 컴퓨터를 설정을 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msc 파일 조정이 필요한데요 여기서 gpedit.msc 를 선택을 해줍니다.
사용자 구성과 함께 여러가지 항목 수정이 가능한데요 여기서 관리 템플릿을 선택을 합니다.
windows 업데이트를 보면 비즈니스용으로 해서 여러가지 설정 항목이 있습니다. 여기서 윈도우 업데이트에 관계되는 자동업데이트 구성을 사용안함으로 변경을 해놓으면 됩니다.
그외에 업데이트 설치하기 전에 알려주기도 하도 주 격주 단위등으로 위 항목이 실행되기 전에 수행 제한이 일어나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다음 또 services.msc 파일도 위와같이 설정 변경을 해주면 됩니다.
윈도우즈 업데이트 관련된 파일을 현재 local system으로 되어있는데요 수동에서 사용안함으로 변경을 합니다.
서비스상태는 중지됨으로 되어있는데요 위와같이 windows update 속성 로컬컴퓨터에서 변경을 해주면 됩니다. 이렇게 두가지 설정 변경을 통해서 이제는 앞으로 윈도우즈 업데이트 메세지가 보이지 않을것으로 생각이 듭니다.